터미널 리눅스 필수 명령어
OS는 커널, 라이브러리, 응용 프로그램 같은 수많은 요소가 뭉쳐서 이루어졌다면, 리눅스는 그 OS의 핵심인 커널 그 자체입니다만, 보통 리눅스를 지칭할때 이 커널 기반의 운영체제를 이야기합니다. 리눅스는 그 자체로는 전체 운영 체제가 이나리 단순히 하드웨어와 통신하는 핵심 컴포넌트일 뿐입니다.
리눅스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통신을 관리합니다.
리눅스 명령어는 백엔드 개발자라면 필수적으로 터미널을 다루게 됩니다. 평소에는 사용할 일이 거의 없기 떄문에 어색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웹서버들, 아파치, IIS 또는 NGiNX 같은 서버들은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이 리눅스는 오랜 기간동안 개발되어 오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개발자들이 사용합니다. 안정적이고 보안문제에 대해 빠른 업데이트가 이루어집니다.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서로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고, 다양한 버전이 존재합니다. 또한 위에서 말했듯이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비용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리눅스 사용해보기
우리는 보통 window OS를 사용하는일이 대부분인데요. winOS 커맨드창에서 입력하는건 리눅스 명령어와는 조금 다릅니다. 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실행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순서에 따라서 ubuntu를 설치해주시면 되는데요.
ubuntu 이외에도 linux 기반 OS를 설치하면 이용이 가능합니다. 설치가 끝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 설정까지 성공했다면 일반 powershell이나 cmd창에서 bash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제부터 유닉스 계열인 리눅스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명령어
1. pwd : 현재 위치 출력
print work directory의 줄임말
2. ls :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 출력
list segments의 줄임말,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의 list를 뽑아주는데 세부 옵션 항목들이 정해져있음
-l : 파일들의 상세정보를 표시
-a : 숨김 파일 표시
-t : 최신 파일부터 표시
-rt : 오래된 파일부터 표시
-F : 파일을 표시할 때 파일의 타입을 포함하여 표시
-R : 하위 디렉토리의 내용까지 표시
이 조합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ls -al, ls -altF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cd
디렉토리 이동
4. mkdir
디렉토리 생성
5. cp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사
6. mv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7. rm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
8. cat
파일 내용 확인
9. touch
빈 파일 생성
10. echo
문자열 화면 표시
11. ip addr/ ifconfig
IP정보 확인
12. ss
네트워크 상태 확인
13. nc
서버의 포트 확인
14. which, whereis, locate
명령어 위치 확인
15. tail
파일의 마지막 부분 확인
16. find
파일이나 디렉토리 찾기
17. ps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 상태 확인
18. grep
주어진 입력값에서 패턴에 맞는 값 출력
19. kill
프로세스 종료
20. alias
명령어 별칭
21. vi / vim
편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