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HTTP

HTTP 상태코드 1xx ( Informational )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2xx ( Successful ) : 요청 정상 처리 200 OK : 결과가 정상적으로 처리됐을때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됐을떄 ( HTTP Header로 식별 ) 202 Accepted : 요청이 접수됐지만 처리는 완료되지 않았음 ( batch 처리에 사용 ) 204 No Content :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본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음 3xx ( Redirection )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행동 필요 리다이렉션이란 ? 웹 브라우저는 3xx 응답의 결과에 Location 헤더가 있으면, Location 위치로 자동 이동함을 뜻함 영구 리다이렉션 : 특정 리소스..
비 연결성 HTTP는 기본적으로 비연결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초 단위의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한다. 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스를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해야 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상당히 적은편에 속한다. 서버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한다. - 3 way handshake 시간 추가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요청하면 HTML 뿐만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CSS 추가 이미지 등등 수 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지금은 HTTP 지속 연결을 사용하여 해결하고 있다. HTTP 헤더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가 들어있다. 표준 헤더가 너무 많고, 필요시 임의의 헤더가 추가가 가능..
IP 주소 부여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신할때 필요한 최소한의 규칙이다. 클라이언트에서도 주소가 필요하고, 내가 데이터를 보낼 서버에도 주소가 필요하다. IP(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은 패킷이라는 통신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이다. IP 패킷 출발지, 목적지의 IP를 넣고 전송할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렇다면 서버에서도 출발지, 목적지의 IP를 넣고 클라이언트쪽으로 돌려보내고 무사히 도착했다면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다. 클라이언트에서 전송할때와 서버에서 전송할때 경로가 다를수도 있다. 비 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가 상태여도 패킷은 전송된다. (단방향) 비 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유실되거나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한계 중복성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
함형우
'SpringBoot/HTTP' 카테고리의 글 목록